서로 다른 지역에서 일을 시작하게 된 고등학교 친구들과 코로나가 오기 전 여행을 다녔어요. 자주 얼굴을 보기가 어려워 여행 계획을 세워 만나곤 했습니다. 첫 번째 여행지가 전주였어요.
각자 부산과 서울, 세종에서 전주로 도착해 만났어요. 2017년 1월이었습니다. 저는 짧았던 서울에서의 인턴 생활을 마무리했고, 대학원 졸업을 앞두고 부산에서 취업 준비를 하기로 결정한 때였습니다.
3개월간 함께 살았던 친구 집에서 짐을 정리해 부산으로 부치고 간단한 짐을 캐리어에 챙겨서 전주에 도착했어요. 언론사 입사 준비는 더 이상 하지 않기로 결정한 상황이어서 앞으로 어떤 일을 하며 살지, 오랜만에 다시 가족들과 살면 많이 부딪히게 되지 않을지 등 고민과 걱정이 많았어요.
점심쯤 전주에 도착해서 떡갈비집에서 친구들을 만났습니다. 공무원 생활 2년 차에 접어든 친구, 입사가 결정되어 일본으로 출국을 앞두고 있던 친구 모두 고민과 걱정이 많았을 거예요. 그런데 떡갈비를 먹으며 서로 사진을 찍어주는 동안 아무 생각이 없었습니다. 밥을 먹고 커피를 사들고 예약해둔 숙소로 가는 길에 눈이 펑펑 내리기 시작했어요.
1박 2일 동안 전주를 여행하며 머릿속을 새하얗게 비우고 왔습니다. 여행을 마치고 친구와 함께 부산으로 돌아왔어요. 함께 여행을 하며 정말 즐거웠고 덕분에 대학원 생활을 마무리하고 부산으로 돌아오는 길이 외롭지 않았어요.
그 뒤로 얼마 지나지 않아 저도 취업을 했고 다음 해에는 모두 직장인이 되어 남해로 여행을 떠났습니다. 코로나로부터 조금 더 자유로워지면 올해도 셋이 함께 어딘가로 여행을 떠나고 싶어요!
언젠가 함께 읽고 싶었던
리뷰의 문장들을 나누려고 해요!
개인적으로는 따뜻한 말씀을 읽으며
모임을 처음 시작하던 때의
긴장과 설렘을 되새기곤 합니다
한땀한땀 분석한
리뷰의 키워드를 공개합니다 🔎
제가 임의로 정한 키워드를 하나씩 검색해서 키워드가 총 몇 번 등장하는지 정리해 봤어요!
여러분들께서 리뷰에 써주셨던 문장들을 읽으며 습관, 마음, 창작이라는 카테고리가 떠올랐어요. 카테고리 내의 세부 키워드들을 아래와 같이 분류했습니다. 빈도 수는 다음과 같았어요.
'습관' 27회, '꾸준히' 15회, '아침' 19회, '뿌듯' 8회
'따뜻' 18회, '재미와 댓글' 각각 15회
'마음' 21회, '힘' 13회, '두려움' 6회
#1.
우리가 함께 만드는 좋은 습관
습관
"글을 쓰는 습관을 들이려고 시작을 했어요. 같이 하면 쉽다는 말을 들어서 신청을 넣었어요. 참여를 하고 깨달았어요. 같이 하는게 엄청 쉽다는 것을."
꾸준히
"글감에 대한 자료도 같이 주시고 생각보다 알찼어요! 글이 생각 안 나거나 바쁘거나 하면 빼먹은 적도 있지만 꾸준히 흘러가고 있다는 것이 좋아요."
아침
"특히 아침 6시 도착하는 글감은 하루를 시작하며 몽롱한 생각도 환기시켜주었습니다. 글쓰기를 위해 아침부터 뇌를 활성화시키는 기분이랄까요."
"세 달째 참여했습니다. 매일 아침마다 글감을 보고 글을 쓰는 루틴이 생겨서 지난 세 달동안 건강한 하루를 보낼 수 있었어요."
뿌듯
"쓰기를 시작해서 너무 잘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매일 찍혀지는 인증완료 동그라미도 볼 때마다 뿌듯합니다."
"생각하면 할수록 제가 더 단단해지는 느낌입니다. 또 글 하나를 써냈을 때의 그 뿌듯함과 성취감도 장난이 아니고요. 취미의 재발견입니다."
#2.
따뜻한 마음을 나눠요
따뜻
"무엇보다 여러 사람들이 내 글에 달아주는 따뜻한 감상과 피드백이 하루하루를 기쁘게 만들어 주고, 앞으로 글쓰기를 계속 하고 싶다고 생각하게 만들어 주네요!"
"글감에 대함 주제로 이리저리 생각하면서, 하루 중 가장 온전한 시간을 만들게 해줍니다. 세상이 이리도 따뜻한 공간이었다는 것을 다시 깨닫게 해줘요. 글쓰기만큼 값진 것들을 느낄 수 있어요."
재미
"새해를 맞아 해보지 않았던 새로운 걸 시도해보자! 하는 마음에 하게 된 하루 10분, 생각하는 글쓰기. 글쓰는 걸 어려워 했던 제가 조금씩 재미를 붙여나가기 시작했어요."
"글감을 확인하고 호스트님의 글을 먼저 천천히 읽구, 어떤 분이 제일 먼저 글을 올리셨나 보면서 그분 것도 읽고, 나는 어떻게 쓸까 생각도 차분히 하면서 재미와 감동이 있는 그런 공간입니다."
댓글
"참여자분들의 따뜻한 댓글 때문에 힘이 나요. 또 그분들의 글을 읽는 것도 정말 즐겁습니다. 얼굴은 모르지만 같은 질문에 대해 여러사람의 글을 보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 좋아요. 좋아요. 아무튼 좋아요."
"무엇보다 코로나 이후 관계가 제한적이었는데 모임에서 함께한 분들과 함께 매일의 글도 쓰고 공감하며 댓글도 달면서 보낸 것이 정말 소중한 경험이었어요. 비록 랜선모임이기는 하지만 매일 보는 듯한 분들과 다정히 안부를 묻듯이 그 누구보다 더 가깝게 느껴졌어요."
#3.
내 안의 창작자를 만나는 시간
마음
"매일매일 몸 건강을 위해 운동하듯이 마음건강을 위해 글을 썼습니다. 저는 매우 건강해진 것 같아요."
"글쓰기하는 자체가 마음이 차분해지고 적어도 한 시간은 내 의지로 생각을 하는 시간이 생기다보니 삶이 풍요로워진 느낌이에요."
힘
"글쓰기 주제만 던져주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함께 제시해주는 컨텐츠가 훌륭합니다. 글쓰기 습관만이 아니라 생각하는 힘도 함께 길러주는 듯해요."
두려움
"확실히 글쓰기 근육이라는 게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짧은 글이라도 꾸준히 쓰다보니 글쓰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조금씩 줄어듭니다."
"업무, 개인적인 일상 시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자 참여하기 시작했어요. 3주차 이어가고 있으며, 아직도 헤매고 있지만 재미있는 도전이네요."
"글쓰기 챌린지를 시작하기 전과 후는 너무나 달라요. 글쓰기 두려움이 없어졌고 사유하는 힘이 길러졌습니다."
'매일'과 '글감'이라는 키워드도 자주 등장한 키워드예요. 아래는 정말 감동적이기도 했고, 공감되기도 하는 리뷰였어요. 가독성을 위해 문장은 제가 조금 수정했어요.
매일 글을 쓴다는 게 쉽지는 않지만 운동이나 독서처럼 반드시 해야 할 일인 것 같습니다. 독서나 운동은 시작은 할 수 있지만 글쓰기는 작가들이나, 시인들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했었어요. '누구나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니 감정 정리도 잘 되고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글을 썼으면 좋겠네요.
글을 쓰는 일이 특별한 사람들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는 것을 많은 분들이 알게 되면 좋겠어요. 좋은 선생님들이 많으시고 좋은 모임들이 정말 많아요. 많은 사람들이 오래 즐겁게 글을 썼으면 좋겠습니다.
그렇게 글쓰기 생태계가 커지고 글쓰기의 기쁨과 슬픔에 공감해 주실 수 있는 분들이 많아지면 좋겠어요!